IntelliJ에서 다음과 같은 화면을 찾아주세요
main이라고 적힌 부분을 클릭합니다
(main 앞의 하늘색 가지 모양은 git branch를 나타내며 바로 뒤는 현재 checkout 된 브랜치 이름을 나타냅니다)
클릭한 후 New Branch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브랜치 이름은 주로 Jira 티켓이나 Git Issue 번호, Git flow의 feature 등을 사용합니다
예제에서는 브랜치 이름은 dev-001로 생성해 보겠습니다
입력을 다 한 후 파란색 버튼의 Create를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이 파란색의 브랜치 문양 뒤의 문구가 main에서 dev-001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작업은 깃허브에 올려진 main 브랜치가 아닌 dev-001의 브랜치에 우선적으로 반영이 됩니다
이번에는 패키지를 생성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src 밑의 main에 java가 생성되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java를 클릭하시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New 를 선택하고 Package를 클릭해주세요
패키지 이름은 저희가 앞서 build.gradle에서 사용한 groupId가 들어가야합니다
저희는 build.gradle에서 groupId로 com.tech.younsik을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이름은 groupId에 admin이 추가된 com.tech.younsik.admin으로 생성하면 됩니다
(groupId를 바꾸신 분들은 바꾼것을 반영해서 {변경한 groupId}.admin 으로 만들어주세요)
엔터를 누르고 생성하면 다음과 같이 패키지가 생성되었습니다
이제는 여기에 Main 함수가 들어갈 MainApplication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만들었던 패키지를 클릭하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이번에는 New를 선택하고 Java Class를 선택합니다
클래스 이름은 MainApplication으로 만듭니다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git 연동을 하지 않았으면 나타나지 않습니다)
새롭게 생성한 파일을 git에 반영을 하겠냐는 의미로 파란색의 Add 버튼을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Main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가 작성됩니다
package com.tech.younsik.admi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 spring boot 실행시 필요한 작업들을 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Main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pringApplication으로 MainApplication을 실행할 것이고 인자로 args를 사용합니다
SpringApplication.run(MainApplication.class, args);
}
}
작성이 완료되었으면 한번 실행해 보겠습니다
코드의 아무 위치에서나 오른쪽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재생 버튼처럼 보이는 Run 'MainApplication'을 클릭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면서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분들은 IntelliJ 하단에서 Git 옆의 초록색 재생 버튼이 붙은 Run을 클릭해주세요
큰 배너 spring 화면 밑에는 조그맣게 현재 사용중인 Spring Boot의 버전이 보입니다
첫번째 라인은 Spring에서 어느 클래스를 실행했고 Java 버전, 실행된 위치 등이 보입니다
두번째 라인은 현재는 실행할 프로필을 선택하지 않아 default 프로필로 실행한다는 의미입니다
(default는 spring boot가 기본으로 정의한 설정 값을 사용합니다)
세번째 라인은 현재 스프링 부트가 사용하는 port가 보이고 기본은 8080 입니다
(나중에 application.yml에서 설정으로 원하는 port를 사용하도록 바꿀수 있습니다)
네번째 라인은 WAS(Web Application Server)로 Tomcat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Spring Boot에서는 내장된 웹서버인 embeded Tomcat을 사용합니다)
그 아래에는 Starting Servlet engine의 옆에 현재 사용중인 톰캣의 버전이 보입니다
(Servlet에 대한 글은 추후에 작성해보겠습니다, 지금은 그냥 이런걸 사용하는구나 라고 생각해주세요)
이후부터는 Spring이 실행되면서 나오는 로그 메시지들입니다
마지막의 Started MainApplication in .... 문구가 보이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의미로 한번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보겠습니다
사용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Chrome, Safari, Edge etc.) 아무거나 열어서 다음 url을 주소창에 입력하세요
http://localhost:8080
엔터를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데 갑자기 Error 라는 단어가 보인다고 놀라지 않으셔도 됩니다
Spring Boot에서 localhost:8080 주소의 /로 시작하는 endpoint를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하는 에러로 추후에 Controller를 구현하면 사라집니다
우선은 Spring Boot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고 /로 시작하는 주소가 없어서 Boot가 에러 페이지를 정상적으로 만들었다라고 생각해주세요
우선 여기까지 한 내용을 Commit 해보겠습니다
(Commit은 현재까지 개발한 내용을 git에 반영을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의 git은 github가 아닌 로컬 영역의 git을 의미합니다)
화면 상단에서 Git을 찾아서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Commit 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여러 기능들이 많지만 저희가 지금 사용할 것은 Commit Message 부분입니다
커밋 메시지로 MainApplication을 작성했기 때문에 'MainApplication 구현' 이라는 메시지를 넣어보겠습니다
(보통 커밋 메시지는 회사나 팀 내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작성이 됩니다)
작성이 되었으면 파란색의 Commit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IntelliJ에서 Commit 전에 기본적으로 Error 또는 Waring이 있는지 확인을 해줍니다
(여기서의 Error는 정적 코드 분석을 통한 에러로 실무에서는 컴파일을 한 후에 커밋을 합니다, Warning의 경우에는 코드의 효율(lambda 활용, try catch etc.), 가시성(스타일, 네이밍 etc.) 등으로 인해서 나타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는 가운데의 Commit 버튼을 클릭합니다
커밋이 완료되면 IntelliJ 하단에 다음과 같이 Git 부분에 작은 알림창이 나타납니다
Git 을 클릭하고 Log부분을 클릭해보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이렇게 코드의 변경이 있을때마다 자주 커밋하는 습관을 들이면 추후 롤백이나 기능별 구현시에 편합니다
다음에는 Controller를 구현해보겠습니다
'Hands-on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 5. Controller, ViewResolver(Thymeleaf) 구현 (0) | 2022.05.12 |
---|---|
[MVC] 3. Boot-Admin 프로젝트 Git 연동 (원격) (0) | 2022.04.30 |
[MVC] 2. Boot-Admin 프로젝트 Git 연동 (로컬) (1) | 2022.04.30 |
[MVC] 1. Boot-Admin 프로젝트 세팅 (IntelliJ + Gradle) (0) | 2022.04.30 |